개발/실습

AWS를 이용하여 배포 해보기 - 생성한 인스턴스 로컬과 연결하기

람무 2023. 5. 12. 23:38

지난번에 생성한 인스턴스를 로컬 pc와 연결하여 리모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작업을 해보겠습니다.

작업에 앞서서 로컬 pc에 반드시 ubuntu 및 linux 가 설치되어있어야 합니다.
설치 및 적용 방법은 사용하는 OS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OS에 맞춰서 설치를 진행합니다.
윈도우 우분투 설치
맥 우분투 설치
저는 인스턴스를 20.04로 만들어서 로컬에도 동일하게 20.04버전을 설치하여 사용했는데 22.04를 설치하신 분은 22.04로 받으시면 됩니다. 우분투는 메이저 버전과 마이너 버전이 있는데 마이너 버전은 서로 호환이 가능한 반면 메이저 버전은 호환되지 않습니다. 20.04 와 22.04 모두 메이저 버전으로 호환이 되지 않거나 제한적인 호환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가급적 버전을 꼭 맞춰주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먼저 생성한 인스턴스 아이디를 클릭합니다.

연결 버튼을 클릭합니다.

앞서 인스턴스 생성할 당시 키페이를 생성하면 {키페이 이름}.pem 파일을 다운 받게 됩니다.
1번의 chmod 는 linux 명령어로 'change mode' 의 축약어 입니다. 해당 파일에 400번 속성을 부여하여 계정 소유주 본인에게만 읽기 권한이 있도록 권한을 부여한다는 것 입니다. 기억해두도록 합니다.
2번은 로컬과 인스턴스를 연결하기 위한 주소값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추후 해당 주소로 연결을 해야 하므로 기억해두도록 합니다.

우분투를 실행시키도록 합니다.

ubuntu 루트 디렉토리 → home 디렉토리 → {user이름}디렉토리

ubuntu를 설치 후 처음 실행하게 되면 해당 경로에서 시작하게 됩니다.
명령어 ls 를 입력하면 아무것도 나오지 않을 것 입니다.
구분을 위하여 mkdir download 라고 입력하시면 해당 경로에 download 이름의 폴더가 생성됩니다.
해당 폴더에 {키페어 이름}.pem 파일을 보관합니다.
윈도우 OS는 ubuntu 루트 디렉토리를 윈도우 폴더로 확인할 수 있어서 저는 폴더를 활용하여 해당 파일을 옮겼습니다. cmd 모드에서 옮기는 방법을 알게된다면 업데이트 해두겠습니다.

download 폴더에 .pem 파일을 옮겼으면 해당 경로로 이동해줍니다.
cd download 를 입력하면 해당 경로로 이동하게 됩니다.
1번은 아까 인스턴스 연결 페이지에서 본 1번의 내용을 그대로 복붙해주시면 되고 2번도 마찬가지 입니다.
2번을 입력하면 연결을 확인하는 문구가 나오는데 'Yes' 로 타이핑을 해주시면 됩니다.

성공적으로 연결이 되면 경로가 바뀝니다.
기존 : {user}@DESKTOP-ABCD1234~$
변경 : ubuntu@ip-123-44-55-678
변경이 되었다면 원격 연결에 성공 한 것입니다.

다음번엔 EC2 인스턴스 서버를 본격적으로 실행 해보겠습니다.